728x90 반응형 취미 부자5 무게감 표현 1. 두 물체가 부딫혔을 때, 무거운 것은 부딫힌 후에 같은 방향으로 좀 더 움직이고 가벼운 것은 부딫힌 후에 반대 방향으로 밀려난다. 2. 말랑함 표현 - 공을 매 프레임 마다 새로 그리면 조금 더 말랑한 느낌이 난다. - 공을 모든 프레임에 복사/붙여넣기를 이용해서 그리면 더 견고한 느낌이 난다. - 내 애니메이션은 움직임을 너무 똑같이 했더니 두 공의 차이가 별로 느껴지지 않았다... 3. 단 하나의 물체로 무게감 표현 - 카메라가 흔들리는 듯한 효과를 줘서 무게감을 표현한다. - 착지할 때 땅에 박히는 듯한 효과를 줘서 무게감을 표현할 수 있다. - 먼지, 파편 효과를 내서 더 실감나게 표현할 수 있다. 2021. 1. 3. 움직이는 공 튀기기: 스쿼시와 스트레치 떨어질 때 공을 길게 늘여서 스트레치 효과를 주면 좀 더 자연스러워 보인다. 공이 착지할 때는 공을 찌그러뜨려서 스쿼시 효과를 주면 좀 더 자연스러워 보인다. 머리카락으로 물리적인 움직임을 표현했다. 머리카락 끝 부분이 공보다 천천히 끌려오게 애니메이션을 만들어서 물리적인 움짐임을 표현한다. 공이 멈춘 후에 머리카락은 프레임을 추가해서 좌우로 좀 더 왔다 갔다 하는 그림을 그려서 관성의 힘을 표현한다. 이 효과들로 인해 애니메이션이 좀 더 쫀쫀한 느낌이 나는 것 같다. 2021. 1. 3. 제자리 공 튀기기 공이 떨어 질 때는 점점 빠르게(간격이 점점 넓어지게), 튕겨 올라갈 때는 점점 느리게(간격이 점점 좁아지게) 2021. 1. 3. 애니메이팅 툴: 러프 애니메이터(Rough Animator) 갤럭시탭S7으로 애니메이팅 작업을 할 때 사용할 앱. 2021. 1. 3.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